물맷돌

고정 헤더 영역

글 제목

메뉴 레이어

물맷돌

메뉴 리스트

  • 홈
  • 태그
  • 방명록
  • 분류 전체보기 (835)
    • 만년필 (2)
    • Birds of the Canada (43)
    • 잠깐 쉬어가며 (1)
    • 풍경 (0)
    • 책 속의 불꽃 (0)
    • 해외여행 (14)
    • Birds of the Korea (462)
    • Animals in the nature (10)
    • birds of the Japan (5)
    • 국내여행 (1)
    • 이국의 새 (3)
    • Birds of the Europe (86)
    • Birds of the China (86)
    • Birds of the Alaska (22)
    • Birds of the Indonesia (73)
    • Birds of the Oceania (1)
    • Birds of Africa (19)
      • South Africa (0)
      • East Africa (19)

검색 레이어

물맷돌

검색 영역

컨텐츠 검색

Birds of the China

  • 작은동박새(학명:zosterops japonicus simplex)

    2019.04.03 by moolmaeddol

  • Scaly laughingthrush(학명:Trochalopteron subunicolor)

    2019.04.03 by moolmaeddol

  • Mountain tailorbird/학명:Phyllergates cuculatus

    2019.03.28 by moolmaeddol

  • Maroon-backed accentor(학명:Prunella immaculata)

    2019.03.02 by moolmaeddol

  • Golden bush robin(학명:Tarsiger chrysaeus)

    2019.03.01 by moolmaeddol

  • White-throated fantail(학명:Rhipidura albicollis)

    2019.02.27 by moolmaeddol

  • Buff-barred warbler(학명:Phylloscopus pulcher)

    2019.02.27 by moolmaeddol

  • Rufous-throated partridge(학명:Arborophila rufogularis)

    2019.02.26 by moolmaeddol

  • Mountain bamboo partridge(학명:Bambusicola fytchii)

    2019.02.25 by moolmaeddol

  • 회색바람까마귀-Ashy drongo(학명:Dicrurus leucophaeus)

    2019.02.24 by moolmaeddol

  • Slender-billed scimitar babbler(학명:Pomatorhinus superciliaris)

    2019.02.23 by moolmaeddol

  • Spot-breasted scimitar babbler(학명:Pomatorhinus mcclellandi)

    2019.02.23 by moolmaeddol

작은동박새(학명:zosterops japonicus simplex)

warbling white-eye(동박새)는 Japanese white-eye 혹은 mountain white-eye로도 불리우는 흔한 녀석들이다. 그런데 이녀석들은 그 아종 중에 우리나라에선 흔치않은 작은동박새(zosterops japonicus simplex)들이다. 동박새는 옆구리에 갈색이 있는 반면 작은동박새는 갈색 기운이 전혀없는 회색이다. 몇가지 더 ..

Birds of the China 2019. 4. 3. 12:59

Scaly laughingthrush(학명:Trochalopteron subunicolor)

Scaly laughingthrush(학명:Trochalopteron subunicolor) '얼룩무늬웃음지빠귀'로 표현할 수 있는 지빠귀로 예전에는 꼬리치레과로 분류했으나 지금은 상사조과(Leiothrichidae)에 속한다. 중국 백화령에서 두번 눈에 띈걸 보면 그다지 모습을 드러내기 좋아하는 녀석은 아니다.

Birds of the China 2019. 4. 3. 06:56

Mountain tailorbird/학명:Phyllergates cuculatus

자유여행 그것도 탐조여행을 떠나야만 많은 새들을 볼 수 있다. 중국에서의 경험은 큰 자극이 되어 나는 다시 또다른 꿈을 꾸게된다. 백화령에서 봤던 Mountain tailorbird. 휘파람새과(Cettiidae)에 속한 녀석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쉽지않은데 아주 짧은 순간, 물 마시러 와서 모습을 보여준다.

Birds of the China 2019. 3. 28. 10:28

Maroon-backed accentor(학명:Prunella immaculata)

올겨울엔 꼭 바위종다리를 보려고 했는데 사정이 여의치않았다. Poll은 서울까지 가서 바위종다리(alpine accentor)를 보고 왔다. 대단한 열정에 감탄을 금치 못한다. 비록 바위종다리는 못보고 지나가는 겨울이지만 다행히 백화령에서 바위종다리과(Prunellidae)에 속한 Maroon-backed accentor를 보고 ..

Birds of the China 2019. 3. 2. 22:11

Golden bush robin(학명:Tarsiger chrysaeus)

딱새과(딱새,Muscicapidae)에 속하는 새들만 해도 1,400여종이나 된다니 딱새과의 종이 무척이나 많다. Golden bush robin은 딱새과의 지빠귀류에 속하지않을까 생각된다. 다움 사전에는 robin을 지빠귀과 울새속의 총칭으로 설명하고있다. 딱새과가 이전에는 구대륙딱새류와 까치딱새류만이 속했..

Birds of the China 2019. 3. 1. 20:26

White-throated fantail(학명:Rhipidura albicollis)

백화령에서 철수하기로 한 날 오전에 뜻밖의 새들을 몇종 더 보게되었음은 행운이었다. 샛노란 목덜미를 지닌 딱따구리를 보기 전, White-throated fantail 이녀석이 나타나 이름처럼 몇번 부채꼬리를 펼치며 얼굴을 보여준 것이다. 부채꼬리딱새과(Rhipiduridae)에 속한 녀석다운 아름다움이었다...

Birds of the China 2019. 2. 27. 20:08

Buff-barred warbler(학명:Phylloscopus pulcher)

중국 高黎贡山의 白花岭에서 가장 자주 보였던 새를 꼽으라면 Buff-barred warbler를 떠올리지 않을 수 없다. 혹시 다른 종류의 솔새가 있을까 집중하여 찾아봤지만 Buff-barred warbler밖에는 눈에 띄지않는다. 언뜻 보면 우리나라에서도 보이는 노랑눈썹솔새처럼 보이지만 날개의 날개덮깃의 줄..

Birds of the China 2019. 2. 27. 10:38

Rufous-throated partridge(학명:Arborophila rufogularis)

중국의 고려공산이 워낙 높다보니 고도에 따라 보이는 새들이 달라진다. 목에 오렌지색의 굵은 띠를 지닌 Rufous-throated partridge를 두번 만나볼 수 있었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partridge들을 만날 기회가 또 있기를...

Birds of the China 2019. 2. 26. 20:18

Mountain bamboo partridge(학명:Bambusicola fytchii)

단 한차례 볼 수 있었던 Mountain bamboo partridge. partridge는 작년 봄에 스페인에서 한번 보고 처음이다. 그때는 아주 멀리서 잠깐 지나가는 것을 보았었는데 이번에는 퍽 가깝게 이녀석을 봤었다. partridge는 꿩과(Phasianidae)의 자고새들의 총칭으로 때로는 '엽조'로 말하기도 한다. '엽조' 사냥감..

Birds of the China 2019. 2. 25. 21:55

회색바람까마귀-Ashy drongo(학명:Dicrurus leucophaeus)

바람까마귀류에 속하는 새들이 꽤 여러 종류 있는데 검은바람까마귀는 여러번 보았었다. Ashy drongo(회색바람까마귀)는 백화령에서 처음 보게되어 벅찬 가슴으로 인석들과 조우했었다. 시간이 지나면서 이곳에서 가장 많이 그리고 자주 보였었던 녀석이기도 했다. 전에 문갑도에 나타난 ..

Birds of the China 2019. 2. 24. 21:43

Slender-billed scimitar babbler(학명:Pomatorhinus superciliaris)

scimitar babbler종류를 봤던 중에서 부리가 가늘고 휘어져 가장 scimitar스럽던 녀석, Slender-billed scimitar babbler이다. 나무 틈새에 있는 벌레들을 잡아먹기 좋은 구조를 가졌다. 부리가 길어 깊은 틈새에서도 먹이를 사냥할 수 있는 녀석이다. 페르시아의 칼 부리를 지닌 녀석!

Birds of the China 2019. 2. 23. 20:36

Spot-breasted scimitar babbler(학명:Pomatorhinus mcclellandi)

가슴에 엷은 갈색 줄무늬가 있는 Streak-breasted scimitar babbler와 함께 나타난 녀석 Spot-breasted scimitar babbler. 이녀석은 검은 점 무늬가 가슴에 있어 구분이 된다. 부리가 마치 페르시아의 휘어진 칼처럼 생겼다고 해서 scimitar babbler라는 이름이 붙은 녀석이다. 꼬리치레과의 특징을 지닌 꼬리를 ..

Birds of the China 2019. 2. 23. 20:28

추가 정보

인기글

페이징

이전
1 2 3 4 5 6 ··· 8
다음
TISTORY
물맷돌 © Magazine Lab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 유투브 메일

티스토리툴바